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미래자동차

최종수정일 : 2020.03.06
인쇄
이 자료는 2018년 12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운영한 백과사전형 정책 설명 콘텐츠입니다.
최종수정일 이후 변경된 내용은 관련기관이나 최신 정책뉴스를 통해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1. 미래자동차란?

친환경 전기차와 수소차, 정보통신 기술(ICT)과 인공지능(AI)에 기반한 자율주행차를 포괄하는 자동차 개념이다. 산업적으로는 우버·디디추싱·그랩 등 스마트폰·O2O 플랫폼 기반의 공유이동수단 서비스 산업까지 확장되고 있다.
2030년 미래자동차 시장은 전기·수소차, 자율주행차, 이동서비스 산업이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정부는 미래자동차 산업을 8대 혁신성장 선도과제의 하나로 삼고 있다.

['30년 미래차 글로벌 시장 전망]▶수소·전기차(SNE등) '30년 신차의 20~30% ▶지율주행차(내비건트리시서치) 레벨3 이상, 신찬의 50% ▶서비스(맥킨지) 서비스 분야 年30% 성장 (출처=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 보고서, 관계부처 합동)

- (친환경차) 전기·수소차 확대(20~30%) 가운데 미래내연기관*도 상당 비중 차지할 것. 스마트카·자율주행 기능 고도화**도 자동차의 전동화 촉진
* (벤츠, 아우디) 하이브리드車 주력 전망, 2030년 이후에도 내연기관 수요 클 것
** 자율주행 기능은 전기·수소차 기반이 유리 (조향·구동·제동 등 모터기반 정밀제어 가능)
- (자율주행차) 반도체(센서)·소프트웨어(SW, 인공지능) 등 전후방 산업 주도- (서비스) 커넥티드 서비스 등으로 생활·교통체계 혁명 기대
* ‘15~’30년간 연평균 시장성장률 : 서비스 29.8% vs 자동차 판매 2.4% (맥킨지)

2. 세계 자동차 산업 동향과 국내 현황

세계 자동차 산업 동향

세계 자동차 산업은 경계가 무한 확장되는 대변혁중이다. 내연기관 자동차 시장의 부진으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고 미래차와 서비스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혁신의 속도를 높이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자동차 이외의 업종과 합종연횡도 활발하다.

[GM] ▶과일시설 축소 발표('18) ▶'23년까지 전기차 20종 출시 ▶Cruise(자율차 스타트업)인수 [폭스바겐] ▶글로벌 3만명 구조조정 ▶전기차 30여총 출시(~'25) ▶독일 내 공유서비스 출시('16) [도요타] ▶'30년 전기차 550만대 생산 ▶소프트뱅크와 자율차 합작회사(JV) 설립

세계 각국 정부도 미래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민간의 차량개발과 도로운행을 위한 △기반 구축(통신·충전소) △대규모 실증단지 마련 △법·제도 개혁을 추진중이다.

[미국] ▶실제 도시와 같은 M-city 운영(4만평) ▶세게 최초 자율주행 가이드라인 발표 [독일] ▶'22년까지 98% 가구 5G 연결 ▶'30년 완전자율 주행 상용화 목표 [일본] ▶자율주행 대비 도로 교통법 개정('19) ▶'20년 도쿄올림픽 자율주행서비스계획 [중국] ▶30개 도시 5G 테스트베드 구축중 ▶'30년 레벨4(완전자율주행) 10% 달성

국내 자동차 산업 현황

정부는 2015년 이후 급감한 국내 자동차 생산과 부품기업의 경영위기에 적극 대응해 왔다. (’18.12월, 자동차 부품산업 활력제고 방안 등) 국내 자동차 생산은 반등하고 있고(전년 동기 대비 ’19.1~8월, 생산1.1%↑, 수출1.9%↑), 부품기업의 경영실적도 개선되고 있다.
* 국내생산 추이(만대) : (‘15) 456 → (’16) 423 → (‘17) 411→(’18) 403
* 1차 협력기업(83개 상장사) 경영실적(‘19.上) : 매출 7%, 영업이익 26% 증가

친환경차는 국회 수소충전소 준공(’19.9) 등 민관 협력으로 성과를 내고 있다. 전기차 보급은 2016년 대비 2019년 8월 약 7배 증가(누적 기준)했다. 수소차 보급은 같은 기간 약 34배 증가(누적 기준)했다.

[전기차] '16년 말 10,855대 7배중가 '19.9월 80,902대 [수소차] '16년말 87대 39배 증가 '19년 8월 3.436대 (출처=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 보도자료)

자율주행차는 고속도로 자율주행 시범운행(‘18.2) 등을 통한 기술축적과 대규모실증단지(K-City) 완공(’18.12)을 통해 기반을 구축해 왔다.

우리나라의 미래차 경쟁력은 통신 기반과 친환경차 성능 면에서 우수하다. 통신은 자율주행과 연결서비스 지원이 가능한 세계 최고 수준의 기반을 갖추고 있다. 인공지능 기반의 부품과 소프터웨어의 핵심 기술력은 선진국에 비해 미흡(77%수준) 하다. 자동차 서비스 분야도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제도가 미비해 다양한 서비스 지원이 지연되고 있다.

전기·수소차는 국산화를 기반으로 효율성과 주행거리 면에서 성능이 우수하다. 전기차는 세계 최고 전비(아이오닉 6.4km/kWh) 기술을 보유했고, 수소차도 세계 최장거리(609km)를 구현했다.

2030 미래자동차 국가비전 하단 내용 참조



  • 2030 미래자동차 국가 비전
  • 비전 - 2030년 미래차 경쟁력 1등 국가
  • 목표
    • 전기·수소차 국내 신차 판매비중
    • 전기·수소차 세계시장 점유율
    • '27년 전국 주요도로 완전자율주행 세계 최초 상용화
    • 친환경차 세계시장 선도 - 친환경차 기술력 & 국내보급 가속화
      • [차종] '30년 모든 차종의 친환경차 출시 (승용차, SUV, 초소형전기차, 소형트럭, 대형트럭, 버스)
      • [차량성능] ▶전기차 주행거리 400㎞ → 600㎞, 충전속도 40분 → 15분 ▶수소차 내구성 16만㎞ → 50만㎞ 가격 7천만원 → 4천만원대
      • [충전인프라] ▶수소충전소 현재31→'22년310→'30년660 ▶전기충전기 현재0.5만→'22년1만→'25년 1.5만
      • [수요창출] 보조금 연장검토, 세제지원 연장 검토, 수요확대
    • 자율주행차 미래시장 선점 - '24년 완전자율주행 세계 최조 제도·인프라(주요도로) 완비
      • [인프라] '24년 전국 주요도로 4대 인프라 완비(통신시설, 정밀지도, 교통관제, 도로)
      • [제도] '24년 법·규정·제도·보험 완비 (법, 제도, 보험)
      • [차량] '24년 완전자율주행자 출시 (시스템, 부품, 통신, 표준)
      • [서비스] 서비스 확산. '25년 플라잉카 실용화 (자율셔틀, 무인순찰, 플라잉카)
    • 개방형 미래차 생태계 - 민간투자(60조원) & 미래차 전화 가속화
      • [부품기업 미래차 전화] '30년 전장부품 기업비중 20% ('18년 4% → '30년 20%)
      • [개방형 협력 생태계] 미래차 신산업 창출 (창업활성화 지원-장비, 건물, 투자·융자)(개방형 협력모델 - 차량용 반도체, 수소버스, 자율 셔틀)
      • [미래차 소재·부품] '30년 자립도 80% ('18년 50% → '30년 80%)
  • 기대효과
    • 자율주행 기술강국 - 기술 수준 83% → 93%
    • 교통사고 사망자 - 74%경감
    • 교통정체 - 30% 저감
    • 온실가스 - 30% 감축
    • 미세먼지 - 11% 감축
(출처=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 보도자료)

3.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 (2019.10.15.)

2030년 미래차 경쟁력 1등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이다. 친환경 기술력과 국내 보급을 가속화해서 세계 시장을 적극 선점하고, 2024년까지 완전자율주행 제도와 기반을 세계 최초로 완비하는 것이 목표다. 60조원 규모의 민간투자를 기반으로 국내 자동차 산업을 개방형 미래차 생태계로 신속하게 전환하는 전략을 담았다.

[보도자료] 미래차 산업 신속전환을 위한 3대 전략 -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 발표 (2019.10.15. / 관계부처 합동)

주요 내용

① 친환경차 세계시장 선도 : 2030년 국내 신차비중 33%, 세계시장 점유율 10%- (차종·성능) 2030년 전 차종의 친환경차 출시, 세계 최고성능의 유지·확대*, 전비·주행거리 등 성능 중심 보조금 개편
* ’20~’26년 3,856억원 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30년까지 모든 차종의 라인업 구축] ▶전기차:초소형 전기차, 소형트럭, 승용차, SUV ▶수소차:승용차, SUV, 대형트럭, 버스 [세계 최고 수준의 친환경차 경쟁력 확보] ▶전기차 - 주행거리 400㎞ → 600㎞, 충전시간 40분 → 15분 ▶수소차 내구성-16만㎞ → 50만㎞, 차량가격 7천만원대 → 4천만원대 (출처=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 보도자료)

- (충전소) 수소충전소 2030년 660기, 전기충전기 2025년 1.5만기 구축
* ’30년 수소충전소는 주요도시에서 20분 이내, 고속도로에서 75km 이내 도달
[2020, 2030, 2040년 수소충전소 구축(안)] 2020년 171기, 2030년 6060기, 2040년 1,200기 ▶일반 충전소 900기 주요도시 15분내 도달 ▶고속도로 약 100기 고속도로 50㎞내 도달 ▶버스 추전소는 노선별로 구체화 (출처=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 보도자료)

- (수요창출) 규모의 경제 도달시까지 보조금 유지*, 버스·택시·트럭·자율주행차 등으로 수요 확대
* ’22년 이후 생산규모·미래차 경쟁력 등을 고려해 보조금의 지급여부·수준 검토

② 자율주행차 미래시장 선점 : 2027년 주요도로 완전자율 주행 세계 최초 상용화- (제도·인프라) 2024년까지 완전자율주행을 위한 제도도입(성능검증·보험·운전자의무 등)·정비시기 단축 → 세계최초 제도·인프라(주요도로) 완비
* 4대 인프라 : 통신시설 인프라, 정밀지도, 교통관제, 도로 등
- (기술) 핵심부품(시스템·부품·통신) 투자, 2027년 자율차 기술 강국 도약
* ‘21~’27년 자율주행 레벨4, 1.7조원 예비타당성조사 진행중

③ 미래차 서비스시대 준비 : 자율주행 서비스 확산, 2025년 플라잉카(Flying car, 하늘을 나는 자동차) 실용화- (이동서비스) 민간주도 3대 서비스, 공공수요 기반 9대 서비스 확산
* (민간) 자율셔틀, 자율택시, 화물차 군집주행, (공공) 자율주행 무인순찰 등
- (신 교통서비스) 2025년 플라잉카(flyingcar) 실용화*, 단계적 확산
* 기술개발 및 법제도 정비 등을 통해 실증·시범사업이 가능한 단계

[9대 공공서비스] ▶이용자 편의 - 교통약자 이동자원, 대중교통 최적화, 공유차 서비스 ▶도시기능 효율화 - 자율주행 공공행정, 도로 긴급복구 서비스, 차량 고장시 긴급대응 ▶국민안전 서비스 - 주야간 모니터링, 긴급차량 통행 지원, 자율주행 순찰 (출처=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 보도자료)

④ 미래차 생태계 조기전환 : 2030년 부품기업 중 전장부품 기업 비중 20%- (부품기업 전환) ①2조원 이상 자금(설비투자, 유동성 추가지원) 공급, ②연구·현장인력 2,000명 양성, ③해외 완성차와 공동기술개발- (개방형 협력생태계) ①대기업-중소기업 간 협력모델(차량용반도체, 수소버스, 자율셔틀) 확산, ②스타트업의 미래차 창업 활성화 지원- (소재·부품) 미래차 핵심소재·부품 자립도 50% → 80%로 제고

4. 미래차 경쟁력 세계 1위 가능한가?

ㅇ 글로벌 시장의 경쟁구도가 끊임없이 변하고 있어, 주요국·글로벌 기업이 ‘같은 출발선상에 위치’
⇒ 우리나라의 강점을 활용하고 빠르게 대응하면 달성 가능한 목표

ㅇ 수소·전기차의 핵심요소는 ① 제조역량과 성능, ② 충전인프라- ① 우리나라 차량플랫폼, 전기배터리, 수소연료전지 등 핵심영역 모두를 국산화해 수출 중이며, 차량성능도 세계최고 수준
* ▲완성차 국산화 99% 달성, ▲ 모터, 전력변환, 공조 등 전기차의 핵심부품을 글로벌 완성차 회사에 공급 중, ▲ 수소차 최초로 유럽안전기준 최고수준 획득
- ② 계획된 충전소 구축계획 등을 차질 없이 이행해 나간다면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보급 가능
* 전기충전 : 대수당 세계최고 수준으로 구축 중,  수소: ‘30년 660기, ’40년 1,200기 목표

ㅇ 자율주행차 발전을 위해서는 ① 전동화기반, ② 자율주행기능, ③ 통신 등 인프라 ④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 - ① 우리는 수소차·전기차 등 탄탄한 차량 전동화 기반을 보유- ② 자율주행기능 중 우리나라의 강점인 반도체 기술기반을 활용시 핵심부품(주위환경 인지 센서 등) 국산화 가능, 빠른기술력제고가 필요한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SW)는 국제협력으로 기술확보- ③ 지리적여건·통신인프라1)강점을 활용해 센서 중심 독립형2)뿐만 아니라 통신을 함께 활용하는 커넥티드형3) 동시 추진가능
1) 5G 인프라 세계 선도국, 전국 고속도로 광통신 교통정보 수집체계 완비
2) 미국 등 영토가 큰 나라는 독립형(센서중심) 중심 추진 → 센서·인공지능 강화로 인하여 차량시스템의 고기능을 요구하는 바, 전면 상용화및 전국 운행에 시간 필요
3) 교통상황 정보 수집으로 안전성 보완, 車-클라우드시스템간 역할분담으로 경제성 제고
- ④ 자율주행 인프라·법제도를 세계에서 가장 빨리 완비 추진
* 자율주행 레벨3 수준의 제작기준 세계 최초 마련 추진

[동영상] 시발(始發)에서 완전자율주행까지 | 자동차강국 KOREA 미래차 전략은? (2020.01.28. / 산업통상자원부)


5. 그간의 정책과 달라진 사항

주요 정책명, 주요내용, 주요 변경내용 하단 설명 참조
주요 정책명 주요내용 주요 변경 내용
미래차산업 발전전략·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스마트 교통시스템 구축방안('18.2)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2030년 제시 ▶2020년까지 친환경차 및 자율주행차에 대한 큰 틀의 정책방향 제시 ▶전기차 충전소 2022년 1만기 구축 ▶고속도로 인프라 구축 추진 *2020년까지 고속도로 정밀지도 구축 [신규반영] ▶2030년 친환경차 Mix 제시(30%) ▶2025년 전기충전소 1.5만기 구축으로 확대 ▶공동주택 의무구축량 2배 이상 확대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2027년으로 단축 ▶자율주행 통신방식 결정('21년) ▶미래차 서비스 분야 대폭반영 -커넷티드서비스 확신방안, 셔틀·로봇 모빌리티 운행, 군집주행 상용화('21), 플라잉카 실용화('25), 스마트시티 통합서비스 ▶2024년 완전자율주행 인프라(주요도로) 완비 - 통신, 정미지도, 교통관제시스템 등 포괄 ▶미래자동차 전략회의 신설 [구체화] ▶ 자율주행 연구 개발(R&anmp;D) 전략과 로드맵 구체화 -범부처 추지체계 신설, 미래차 국제표준화 방향, 전국 실증사이트 구축
전기·수소차 보급·확산 정책방향('18.6) ▶ 2020년 친환경차 보급목표 제시:전기차 35만대, 수소차 1.5만대 ▶2020년 보조금 지급, 수소충전소 민간 SPC 설립등 [신규반영] ▶비용 균형점(Cost-Parity) 반영, 2020년 이후 보조금 검토 ▶대형수요자 의무구매비율 설정 ▶전비 중심으로 보조금 개편
자율주행 규제혁파 로드맵('18.11) ▶부분자율주행(레벨3)→완전자율주행(레벨4)로 단계적 추진 ▶분야별 제도 개선 필요성과 이에 대한 권고사항 제시 ▶서비스·사업화 내용 未제시 [신규반영]▶레벨3+레벨4 병행 추진하되, 레벨4 중심으로 제도개선, 구체적 실행 시점 제시 - 레벨4 제작(안전)기준 마련, 레벨4 성는검증체계 마련, 레벨4 보험제도 마련등 ▶사업화 촉진 「자율주행차법」 시행 방향 ▶부품 KS표준 마련(180종) [조정기간 단축] ▶영상시청 등 운전자의무 개정('25~'24)
자동차 부품대체 ('18.12) ▶부품기업에 3.5저조원 유동성 지원 ▶부품기업 대형화 방향제시, 기술력제고(미래차전환)등 지원책 마련 ▶2022년 친환경차 보급목표 제고:전기차 43만대, 수소차 6.5만대 [신규반영] ▶부품기업 만기연장 2조원 추가 ▶전장부품기업 비중확대(4%→20%) ▶미래차 인력양성 시업단 등 2,000명 공급 ▶소재·부품 자립도 50%→80% ▶전기·수소차 개소세·취득세 지원연장 검토 ▶전기차 AS, 사용후 배터리 활용방안 검토 [구체화] ▶부품기업 사업재편 지원단 가동(사업방향)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19.1) ▶2040년 수소차 보급목표 설정:290만대, 충전소 1,200개소 ▶수소 대중교통 확대:택시 8만대, 버스 4만대, 트럭 3만대 보급 [신규반영] ▶지역별 수소 생산 및 공급방안 마련 ▶2030년 수소충전소 구축목표 제시(660기) [구체화] ▶경제성·편의성·안전성 원칙하에 2020년, 2030년 수소충전소 입지 선정

미래자동차의 기술 인력 현황과 전망

'15년 실태조사 9,476명 '18년 실태조사 5.3배(연평균 74.7%) 50,500명 '28년 수요전망 (출처=산업통상자원부 누리집)

미래형자동차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산업기술인력이 2018년 말 기준 5만 명을 넘어 2015년 말 대비 5배 이상 늘어났다. 연평균 74.4% 증가한 수치다.

분야별로 보면 친환경차가 종사자가 4만2,443명으로 전체의 84%를 차지했다. 자율주행차 종사자는 5,021명으로 9.9%를 점했다. 기반 분야는 전체의 6.1%인 3,068명이었다.

직무별로 보면 생산기술 인력은 2만3,438명, 연구개발 인력은 1만7,186명이었다. 이 가운데 연구개발 인력은 2015년 말(2114명)에 비해 8배 이상 늘었다. 2028년까지 필요한 미래형자동차 사업기술인력 수요는 8만9,069명으로 예상됐다.

6. 참고자료

[보도자료] 미래차 강국 도약을 위한 범정부 전략 마련 (2018.02.05. /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참고> 미래차 혁신성장 속도 높인다 (2018.05.17. /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자율주행차 미래, 미리 내다보고 선제적으로 규제혁파 (2018.08.11. / 국무조정실?관계부처 합동)
[보도자료] 자율주행차 상용화 앞당길 ‘케이-시티’ 완성 (2018.12.10.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제16회 혁신성장동력 특별위원회 개최 (2018.12.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블로그] EV TREND 2019를 통해 본 우리나라 미래 자동차 (2019.05.09. /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미국, 유럽, 일본 등 수소경제 선진국과 국제표준화 협력 강화 (2019.06.19. /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산업부·과기정통부, 자율주행 분야 기술협력 본격화 (2019.08.22. / 산업통상자원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블로그] 자동차시장이 바뀐다 (2019.08. / 기획재정부)
┕  ① 車가 전자제품 박람회에?   ② 전기차와 수소차   ③ 운전자 감정까지 읽는 차   ④ 미래자동차 산업의 과제
[보도자료] 민관이 손잡고 미래형 개인 비행체(PAV) 띄운다 (2019.09.04. / 산업통상자원부·국토교통부)
[보도자료] 미래차 산업 신속전환을 위한 3대 전략 -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 발표 (2019.10.15. / 관계부처 합동)
[정책뉴스] 미래형자동차 종사 기술인력 5만명 넘었다…연평균 74% 증가 (2020.03.03. / 산업통상자원부)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