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달라지는 관세행정

2025년 달라지는 관세행정

2025년 달라지는 관세행정

2025년 달라지는 관세행정

2025년 달라지는 관세행정

2025년 달라지는 관세행정

2025년 달라지는 관세행정

2025년 달라지는 관세행정

2025년 달라지는 관세행정

2025년 달라지는 관세행정

2025년 달라지는 관세행정

① 시제품·연구·시험용 물품 반출입 절차 간소화
[종전]
· 연구·시험용 목적으로 자율관리보세공장에서 반출 시 장외작업 절차 준용 [제29조의2]
* 기업부설연구소에서 사용될 기자재·원재료 등은 수입통관 후 사용해야 함
. (대상) 견본품
· (장소) 기업부설연구소
[달라지는 내용]
· 간소화 대상과 장소 확대
· (대상) 원재료·시제품·견본품
. (장소)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 전담부서
▲ 기대효과 : 제조공정 투입 전 원재료·시제품 등의 시험·연구와 신제품 개발 효율성 향상, 불량 등 발생 시 신속한 원인 규명 및 대응 가능
▲ 시행일 : '25. 2월 시행 예정(「보세공장 운영에 관한 고시」 제29조의2 개정)
② 보세공장 잉여물품 관리 간소화
[종전]
잉여물품의 재고관리(제33조)
· <신설>
[달라지는 내용]
내·외국 구분 관리가 어려운 잉여물품의 재고관리 방법 완화
· 다음 각 호의 잉여물품에 대해 내·외국 구분 없이 전산시스템에 기록·관리하는 방식으로 보관 또는 반출입 허용
- 설계도면 등에 의해 정확한 손모중량 산출이 가능한 비금속 원재료의 웨이스트 또는 스크랩으로서 기본 관세율이 0%인 것(설계손모량에 따라 중량 관리)
- 원재료·제품에 전용된 후 재사용하지 않는 포장·운반용품·용기로부터 발생한 웨이스트 또는 스크랩(내·외국 원재료의 혼용 중량 비율에 따라 중량 관리)
▲ 기대효과 : 보세공장 잉여물품의 내·외국 구분 관리 부담 해소로 작업 효율성 향상, 인건비 절감,
공간활용, 신속 제조 가능
▲ 시행일 : '25. 2월 시행 예정(「보세공장 운영에 관한 고시」 제33조 개정)
③ 원산지 등의 사전심사 신청가능 협정·대상 확대
[종전]
사전심사 신청대상 제한
· 사전심사에 관한 사항을 정하고 있지 아니한 협정·대상의 경우 사전심사를 신청할 수 없도록 제한
[달라지는 내용]
사전심사 신청대상 확대
· 협정에서 사전심사 관련 사항을 정하고 있지 않더라도 국내법에 따라 사전심사 신청이 가능토록 확대
▲ 기대효과 : FTA 원산지 사전심사 신청가능 협정 및 대상 확대를 통해, 수입기업의 협정관세 적용
관련 법적안정성 제고
▲ 시행일 : '25. 1. 1. 시행(「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제31조 개정)
④ 관세조사 중지 사전승인제도 시행
[종전]
관세조사 중지(훈령 제36조)
· 관세조사 중지 시 중지 횟수에 관계 없이 관세청장 승인 후 조사대상자에게 통보
[달라지는 내용]
관세조사 중지 사전승인제도
· 동일한 관세조사건에 대해 3회를 초과하여 중지(조사대상자 요청에 의한 중지는 제외)하는 경우에는 납세자보호관 등의 사전 승인을 받아 중지
▲ 기대효과 : 반복적 관세조사 중지에 따른 조사기간 장기화 해소
▲ 시행일 : '25. 1. 1. 시행 (「관세조사 운영에 관한 훈령」 제36조제1항)
⑤ FTA 협정관세 사후적용 신청 대상 확대
[종전]
협정관세 사후적용* 신청 대상
* 수입신고 수리 후 협정관세율 적용
. (원칙) 수입신고 수리 후 1년 이내
. (예외) 세관장이 품목분류를 변경하고 관세를 징수하는 경우로서 납부고지 받은 날부터 45일 이내
· <신설 >
[달라지는 내용]
협정관세 사후적용 신청 대상 추가 (수리 후 1년 경과한 경우)
· 수입자가 「관세법」 제87조에 따라 품목분류가 변경되어 수정신고하고 수정신고를 한 날부터 45일 이내
▲ 기대효과 : 수입자 스스로 품목분류 변경에 따라 부족세액을 신고납부한 때에도 이를 허용함으로써
납세자의 권익 보호
▲ 시행일 : '25. 1. 1. 시행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제9조 제2항 개정)
⑥ RCEP 수출자·생산자에 의한 원산지 자율증명 방식 추가
[종전]
RCEP 원산지증명 방식
. 기관발급 원산지증명 방식
. 인증수출자에 의한 자율증명 방식
. <신설 >
[달라지는 내용]
RCEP 원산지증명 방식 추가
. 기관발급 원산지증명 방식
. 인증수출자에 의한 자율증명 방식
. 수출자· 생산자에 의한 자율증명 방식
- (대상 회원국) 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
▲ 기대효과 : 수출자와 생산자가 원산지증명서를 직접 발급함으로써 원산지 증명절차 간소화 및 기업 부담 완화
▲ 시행일 : '25. 1. 1. 시행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규칙 제7조제2항제15의2 신설)
⑦ 보세창고 내 내국물품 장치 가능 기간 연장
[종전]
보세창고 내 물품 장치기간(제177조)
· 외국물품 1년 범위 + 1년 연장 가능
· 내국물품 : 1년 범위
[달라지는 내용]
내국물품 장치기간 확대
· <현행과 같음>
· 1년 범위 + 1년 연장 가능
▲ 기대효과 : 내국물품과 외국물품 간 형평성 제고 및 창고의 탄력·효율적 운영으로 물류비용 절감
등 물류산업 지원
▲ 시행일 : '25. 1. 1. 이후 연장 신청하는 분부터 적용 (「관세법」개정)
⑧ 부정행위 시 신고불성실 가산세율 상향
[종전]
관세법상 신고불성실 가산세율
· (원칙] 부족세액의 10%
- (예외) 부정 과소신고*시 40%
*①허위증명 · 허위문서 작성이나 수취
②세액심사에 필요한 자료의 파기
③관세부과 근거가 되는 행위나 거래 조작·은폐
④그밖에 포탈, 환급 또는 감면받기 위한 부정한 행위
· (무신고) 해당 관세액의 20%
- (밀수입죄로 처벌시) 해당 관세액의 40%
[달라지는 내용]
가산세율 상향
· <현행과 같음>
- 부족세액의 40 → 60%
<현행과 같음>
- 해당 관세액의 40 → 60%
▲ 기대효과 : 납세자의 정확한 납세신고를 유도하여 자발적 법규준수 제고
▲ 시행일 : '25. 1. 1. 시행 (「관세법」 제42조 개정)
⑨ 지식재산권 등의 보호 범위 확대
[종전]
지식재산권 침해물품 수출입 제한(제235조)
· <신설>
[달라지는 내용]
지식재산권 등의 보호 범위 확대
· 「방위산업기술 보호법」에 따른 방위산업기술
→ 신설 : 방위산업기술 추가
▲ 기대효과 : 지식재산권 등(방위산업기술)을 침해한 것이 명백한 경우 통관보류 또는 유치 가능
▲ 시행일 : '25. 1. 1. 시행 (「관세법」 제235조 개정)
⑩ 명의대여행위죄 대상 확대 및 형량 강화
[종전]
명의대여행위죄의 대상 및 처벌내용
(제275조의3)
· 처벌 대상
<신설>
· 처벌형량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달라지는 내용]
처벌 대상 확대 및 형량 강화
· 처벌 대상
- 타인명의 사용 탁송품 또는 우편물 수입
· 처벌 형량
- 타인명의 사용 :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
- 자신의 명의사용 허락 : 1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 벌금
▲ 기대효과 : 타인명의를 도용하여 해외직구에 악용하는 행위를 차단
▲ 시행일 : '25. 1. 1. 시행(「관세법」 제275조의3 개정)
① 시제품·연구·시험용 물품 반출입 절차 간소화
[종전]
· 연구·시험용 목적으로 자율관리보세공장에서 반출 시 장외작업 절차 준용 [제29조의2]
* 기업부설연구소에서 사용될 기자재·원재료 등은 수입통관 후 사용해야 함
. (대상) 견본품
· (장소) 기업부설연구소
[달라지는 내용]
· 간소화 대상과 장소 확대
· (대상) 원재료·시제품·견본품
. (장소)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 전담부서
▲ 기대효과 : 제조공정 투입 전 원재료·시제품 등의 시험·연구와 신제품 개발 효율성 향상, 불량 등 발생 시 신속한 원인 규명 및 대응 가능
▲ 시행일 : '25. 2월 시행 예정(「보세공장 운영에 관한 고시」 제29조의2 개정)
② 보세공장 잉여물품 관리 간소화
[종전]
잉여물품의 재고관리(제33조)
· <신설>
[달라지는 내용]
내·외국 구분 관리가 어려운 잉여물품의 재고관리 방법 완화
· 다음 각 호의 잉여물품에 대해 내·외국 구분 없이 전산시스템에 기록·관리하는 방식으로 보관 또는 반출입 허용
- 설계도면 등에 의해 정확한 손모중량 산출이 가능한 비금속 원재료의 웨이스트 또는 스크랩으로서 기본 관세율이 0%인 것(설계손모량에 따라 중량 관리)
- 원재료·제품에 전용된 후 재사용하지 않는 포장·운반용품·용기로부터 발생한 웨이스트 또는 스크랩(내·외국 원재료의 혼용 중량 비율에 따라 중량 관리)
▲ 기대효과 : 보세공장 잉여물품의 내·외국 구분 관리 부담 해소로 작업 효율성 향상, 인건비 절감,
공간활용, 신속 제조 가능
▲ 시행일 : '25. 2월 시행 예정(「보세공장 운영에 관한 고시」 제33조 개정)
③ 원산지 등의 사전심사 신청가능 협정·대상 확대
[종전]
사전심사 신청대상 제한
· 사전심사에 관한 사항을 정하고 있지 아니한 협정·대상의 경우 사전심사를 신청할 수 없도록 제한
[달라지는 내용]
사전심사 신청대상 확대
· 협정에서 사전심사 관련 사항을 정하고 있지 않더라도 국내법에 따라 사전심사 신청이 가능토록 확대
▲ 기대효과 : FTA 원산지 사전심사 신청가능 협정 및 대상 확대를 통해, 수입기업의 협정관세 적용
관련 법적안정성 제고
▲ 시행일 : '25. 1. 1. 시행(「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제31조 개정)
④ 관세조사 중지 사전승인제도 시행
[종전]
관세조사 중지(훈령 제36조)
· 관세조사 중지 시 중지 횟수에 관계 없이 관세청장 승인 후 조사대상자에게 통보
[달라지는 내용]
관세조사 중지 사전승인제도
· 동일한 관세조사건에 대해 3회를 초과하여 중지(조사대상자 요청에 의한 중지는 제외)하는 경우에는 납세자보호관 등의 사전 승인을 받아 중지
▲ 기대효과 : 반복적 관세조사 중지에 따른 조사기간 장기화 해소
▲ 시행일 : '25. 1. 1. 시행 (「관세조사 운영에 관한 훈령」 제36조제1항)
⑤ FTA 협정관세 사후적용 신청 대상 확대
[종전]
협정관세 사후적용* 신청 대상
* 수입신고 수리 후 협정관세율 적용
. (원칙) 수입신고 수리 후 1년 이내
. (예외) 세관장이 품목분류를 변경하고 관세를 징수하는 경우로서 납부고지 받은 날부터 45일 이내
· <신설 >
[달라지는 내용]
협정관세 사후적용 신청 대상 추가 (수리 후 1년 경과한 경우)
· 수입자가 「관세법」 제87조에 따라 품목분류가 변경되어 수정신고하고 수정신고를 한 날부터 45일 이내
▲ 기대효과 : 수입자 스스로 품목분류 변경에 따라 부족세액을 신고납부한 때에도 이를 허용함으로써
납세자의 권익 보호
▲ 시행일 : '25. 1. 1. 시행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제9조 제2항 개정)
⑥ RCEP 수출자·생산자에 의한 원산지 자율증명 방식 추가
[종전]
RCEP 원산지증명 방식
. 기관발급 원산지증명 방식
. 인증수출자에 의한 자율증명 방식
. <신설 >
[달라지는 내용]
RCEP 원산지증명 방식 추가
. 기관발급 원산지증명 방식
. 인증수출자에 의한 자율증명 방식
. 수출자· 생산자에 의한 자율증명 방식
- (대상 회원국) 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
▲ 기대효과 : 수출자와 생산자가 원산지증명서를 직접 발급함으로써 원산지 증명절차 간소화 및 기업 부담 완화
▲ 시행일 : '25. 1. 1. 시행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규칙 제7조제2항제15의2 신설)
⑦ 보세창고 내 내국물품 장치 가능 기간 연장
[종전]
보세창고 내 물품 장치기간(제177조)
· 외국물품 1년 범위 + 1년 연장 가능
· 내국물품 : 1년 범위
[달라지는 내용]
내국물품 장치기간 확대
· <현행과 같음>
· 1년 범위 + 1년 연장 가능
▲ 기대효과 : 내국물품과 외국물품 간 형평성 제고 및 창고의 탄력·효율적 운영으로 물류비용 절감
등 물류산업 지원
▲ 시행일 : '25. 1. 1. 이후 연장 신청하는 분부터 적용 (「관세법」개정)
⑧ 부정행위 시 신고불성실 가산세율 상향
[종전]
관세법상 신고불성실 가산세율
· (원칙] 부족세액의 10%
- (예외) 부정 과소신고*시 40%
*①허위증명 · 허위문서 작성이나 수취
②세액심사에 필요한 자료의 파기
③관세부과 근거가 되는 행위나 거래 조작·은폐
④그밖에 포탈, 환급 또는 감면받기 위한 부정한 행위
· (무신고) 해당 관세액의 20%
- (밀수입죄로 처벌시) 해당 관세액의 40%
[달라지는 내용]
가산세율 상향
· <현행과 같음>
- 부족세액의 40 → 60%
<현행과 같음>
- 해당 관세액의 40 → 60%
▲ 기대효과 : 납세자의 정확한 납세신고를 유도하여 자발적 법규준수 제고
▲ 시행일 : '25. 1. 1. 시행 (「관세법」 제42조 개정)
⑨ 지식재산권 등의 보호 범위 확대
[종전]
지식재산권 침해물품 수출입 제한(제235조)
· <신설>
[달라지는 내용]
지식재산권 등의 보호 범위 확대
· 「방위산업기술 보호법」에 따른 방위산업기술
→ 신설 : 방위산업기술 추가
▲ 기대효과 : 지식재산권 등(방위산업기술)을 침해한 것이 명백한 경우 통관보류 또는 유치 가능
▲ 시행일 : '25. 1. 1. 시행 (「관세법」 제235조 개정)
⑩ 명의대여행위죄 대상 확대 및 형량 강화
[종전]
명의대여행위죄의 대상 및 처벌내용
(제275조의3)
· 처벌 대상
<신설>
· 처벌형량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달라지는 내용]
처벌 대상 확대 및 형량 강화
· 처벌 대상
- 타인명의 사용 탁송품 또는 우편물 수입
· 처벌 형량
- 타인명의 사용 :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
- 자신의 명의사용 허락 : 1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 벌금
▲ 기대효과 : 타인명의를 도용하여 해외직구에 악용하는 행위를 차단
▲ 시행일 : '25. 1. 1. 시행(「관세법」 제275조의3 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