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는 식품에 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 국민에게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매년 5월 14일을 식품 안전의 날로 지정하고 기념일 전후 2주간을 식품 안전 주간으로 정해 다채로운 행사를 열고 있다.
2002년부터 시작된 식품 안전의 날은 어느덧 올해 24회를 맞았다.
제24회 식품안전의 날 식품 안전홍보관이 열린 서울광장.
지난 5월 8월과 9일 서울광장에서는 식품 안전의 날을 기념해 '촘촘한 안전(Keep), 따뜻한 배려(Kind), 글로벌 성장(Knock), 디지털 혁신(Knowhow)'을 주제로 식품 안전홍보관을 운영했다.
그늘 하나 없이 뜨거운 행사장이었지만 행사 시작 전부터 많은 사람으로 붐볐다.
식품 안전홍보관 행사는 크게 안전관, 배려관, 혁신관, 성장관으로 구성했으며 각 구역에 맞게 식품 안전에 관한 정책과 제품을 소개했다.
안전관은 철저한 식품안전관리로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식중독 예방 수칙 및 음식점 위생 등급제 등을 소개했다.
배려관은 식품안전 취약계층을 위한 배려와 책임을 위한 푸드 정보무늬(QR), 식품 점자 표시 등을 소개했으며, 혁신관은 스마트 식품안전관리인증(HACCP), 식품안전나라 등 인공지능(AI)과 디지털 기술을 통한 혁신적인 안전관리를 보여줬다.
또 성장관에서는 각 식품과 건강기능식품 업계 등이 함께해 케이-푸드(K-food) 성장을 위한 다양한 식품 등을 선보였다.
각 부스에서는 좀 더 재밌게 체감하며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게임이나 퀴즈를 통해 참여를 유도했다.
적극적으로 퀴즈를 맞히는 시민.
"문제 갑니다! 조리된 음식은 2시간 이내에 섭취해야 한다. 맞으면 O, 틀리면 X! 무엇일까요? 네 정답입니다! 이 비누로 손 씻기도 하시고 식중독 예방을 하시면 좋겠습니다"
식약처 마스코트인 지킬박사.
안전관에서는 식약처 공식 마스코트인 지킬박사와 함께 식중독 안전에 관한 퀴즈를 진행하고 있었다.
안내자는 시민들이 맞추면 지킬박사 캐릭터 비누를 하나씩 제공하면서 손 잘 씻으라는 말도 덧붙였다.
"식중독은 현재 겨울철에도 많이 발생하고 있거든요. 사계절 가리지 않아 늘 예방에 주의해야 합니다. 식약처에서는 식중독 예방 6대 수칙을 소개하고 있는데요. 식재료 조리 기구는 깨끗이 세척 소독을 하고 칼과 도마는 구분해 사용하며, 냉장식품은 5도, 냉동식품은 18도 이하에 보관하며, 물은 끓여 드셔야 합니다. 또 육류는 75도, 어패류는 85도에서 1분 이상 익혀 먹고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는 것도 잊지 마시고요."
식중독 예방 6대원칙.
식품의약품안전처 담당 주무관은 식중독을 예방하는 6대 수칙에 관한 방법을 들려줬다.
문득 '아침에 음식을 넣었던 우리 집 냉장고 온도는 어땠었지?'하는 생각이 들었다.
음식점 위생등급 현판. 집앞에 있는 곳에 붙어 있어 왠지 안심하고 들어간다.
또 이 현판을 본 사람도 많을 듯싶다.
요즘 식당 앞에 부착된 음식점 위생 등급제 현판이 심심찮게 보인다.
음식점 위생 등급제는 위생 상태가 우수한 음식점에 등급을 매겨 홍보하는 제도다.
초반 '우수'라고 적힌 곳을 봤을 때 무척 안심됐는데 집 근처에 매우 우수라고 적힌 곳도 생겼다.
어쩐지 그 현판을 보면 더 신뢰가 간다.
부스에서는 안전한 외식을 강조하며 음식점 위생 등급제와 식품 안심 구역에 관해 소개하고 있었다.
음식점 위생 등급제는 알고 있었는데 식품 안심 구역은 처음 알게 됐다.
식품 안심 구역은 범위 내 60% 이상 음식점 위생 등급제를 받았다면 지정되는데 2025년 4월 현재 전국에 12개가 지정돼 있단다.
살펴보니 내가 사는 서울에는 가까운 서울역 인근(KTX 서울역 및 커넥트 플레이스)에도 있었다.
또 지난 9일, 다중이용시설인 현대백화점과 더 현대 서울 등 16개 곳을 새로 지정했다.
이를 기념한 온라인 이벤트도 열린다.
식품 안전 주간인 5월 21일까지 식약처 인스타그램에서 응모가능한 '위생등급제 별스토랑을 찾아라!' 이벤트를 진행한다.